본문 바로가기
고3 영어/지문분석

2024학년도 9월 모평 34번 지문 문제 풀이 해설 (고3)

by 나의영어이야기 2025. 8. 27.
반응형

2023년 9월에 있었던 고등학교 3학년 9월 모의고사 34번 문제 풀이입니다.

다음 주에 있을 2025년 9월 모의고사 시험 대비로 정답이 도출되는 근거를 차근차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2024학년도 9월 모평 34번 지문 해설
2024학년도 9월 모평 34번 지문 해설

문제 원문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점]
Prior to photograph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While painters have always lifted particular places out of their ‘dwelling’ and transported them elsewhere, paintings were time-consuming to produce, relatively difficult to transport and one of-a-kind. The multiplication of photographs especially took plac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alf-tone plate in the 1880s that made possible the mechanical reproduction of photographs in newspapers, periodicals, books and advertisements. Photography became coupled to consumer capitalism and the globe was now offered ‘in limitless quantities, figures, landscapes, events which had not previously been utilised either at all, or only as pictures for one customer’. With capitalism’s arrangement of the world as a ‘department store’, ‘the proliferation and circulation of representations ... achieved a spectacular and virtually inescapable global magnitude’. Gradually photographs became cheap mass-produced objects that made the world visible, aesthetic and desirable. Experiences were ‘democratised’ by translating them into cheap images. Light, small and mass-produced photographs became dynamic vehicles for the spatiotemporal circulation of places.
                                                                                  *proliferation: 확산 **magnitude: (큰) 규모 ***aesthetic: 미적인

① paintings alone connected with nature
② painting was the major form of art
③ art held up a mirror to the world
④ desire for travel was not strong
⑤ places did not travel well

정답: ⑤

전체 지문 번역

사진술 이전에,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화가들이 특정 장소들을 그들의 ‘거주지’에서 들어내어 다른 곳으로 옮겼지만, 그림은 제작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렸고, 운반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웠으며, 단 하나뿐인 것이었다. 사진의 증식은 특히 신문, 정기 간행물, 책, 광고에서 사진의 기계적 복제를 가능하게 한 1880년대의 하프톤 판 도입과 함께 일어났다. 사진술은 소비 자본주의와 결합되었고, 이제 전 세계는 ‘이전에는 전혀 활용되지 않았거나, 오직 한 고객을 위한 그림으로만 활용되었던 형상, 풍경, 사건들을 무제한의 양으로’ 제공받게 되었다. 자본주의가 세상을 ‘백화점’으로 배열하면서, ‘표상의 확산과 유통은 장관을 이루는 거의 피할 수 없는 전 세계적인 규모’에 도달했다. 점차 사진은 세상을 가시적이고, 미적이며, 욕망할 만한 것으로 만든 값싼 대량 생산품이 되었다. 경험은 값싼 이미지로 번역됨으로써 ‘민주화’되었다. 가볍고, 작고, 대량 생산된 사진들은 장소의 시공간적 순환을 위한 역동적인 수단이 되었다.

핵심 어휘

  • Prior to ~이전에
  • time-consuming 시간이 많이 걸리는
  • multiplication 증식, 증가
  • reproduction 복제
  • proliferation 확산
  • mass-produced 대량 생산된
  • spatiotemporal 시공간적인

주요 구문 분석

The multiplication of photographs especially took plac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alf-tone plate in the 1880s that made possible the mechanical reproduction of photographs in newspapers, periodicals, books and advertisements.

‘The multiplication of photographs’가 주어, ‘especially took place’가 동사구,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alf-tone plate in the 1880s’가 장소/시간의 부사구. ‘that’ 관계대명사절은 ‘the half-tone plate’를 선행사로 받아 ‘made possible the mechanical reproduction of photographs in newspapers, periodicals, books and advertisements’의 내용을 설명하는 구조

Photography became coupled to consumer capitalism and the globe was now offered ‘in limitless quantities, figures, landscapes, events which had not previously been utilised either at all, or only as pictures for one customer’.

‘Photography’가 주어, ‘became coupled to consumer capitalism’이 첫 번째 절의 동사구. ‘and’로 연결된 두 번째 절에서 ‘the globe’가 주어, ‘was now offered’가 수동태 동사구. 인용된 구문은 제공된 대상들을 명시하며, ‘which’ 관계대명사절은 이 대상들이 이전에는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부연 설명하는 구조

주제 및 요지

주제문

Light, small and mass-produced photographs became dynamic vehicles for the spatiotemporal circulation of places.

가볍고 작으며 대량 생산된 사진들은 장소의 시공간적 순환을 위한 역동적인 수단이 됨

요지

사진술의 등장으로 장소의 이미지가 대량 복제, 유통되며 시공간적 순환을 통해 세상 경험을 민주화하는 과정 설명

글의 구조 분석

구분 해당 문장 내용
도입 1-2번 사진술 이전 그림의 특징과 한계점 제시
전개 1 3-4번 사진 복제 기술의 발전과 소비 자본주의와의 결합을 통한 이미지의 대량 유통 시작
전개 2 5번 자본주의 체제하에서 표상(이미지) 유통이 전 세계적인 규모로 확산되었음을 설명
결론  6-7번 사진이 세상을 가시화하고 경험을 민주화하는 대량 생산품이 되었으며, 장소 순환의 역동적인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강조

정답 도출 근거

빈칸 바로 뒤 문장에서 화가들이 특정 장소를 옮겼지만, 그림은 ‘제작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운반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웠으며, 단 하나뿐인 것’이라고 설명함. 이는 사진이 등장하기 전에는 장소의 이미지가 물리적으로 이동하거나 널리 보급되기 어려웠다는 한계를 직접적으로 지적함. 글의 후반부에서 사진이 ‘장소의 시공간적 순환을 위한 역동적인 수단’이 되었다고 강조하는 것과 대조를 이룸. 따라서 사진술 이전에는 ‘장소들이 잘 이동하지 못했다’는 진술이 가장 적절한 추론

오답 분석

오직 그림만이 자연과 연결되었다
→ 지문은 그림이 자연과 연결되었는지 여부가 아니라 그림의 이동성 및 희소성에 대한 한계를 설명하고 있으므로, 글의 내용과 관련 없음

그림은 주요한 예술 형태였다
→ 그림이 주요한 예술 형태였다는 내용은 지문의 핵심 논점인 그림의 이동성 한계와는 거리가 멂

예술은 세상의 거울이었다
→ 예술이 세상을 반영한다는 일반적인 개념은 지문이 다루는 미디어(그림과 사진)의 복제 및 유통 방식 변화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여행에 대한 욕구가 강하지 않았다
→ 여행 욕구의 강도에 대한 언급은 지문에 전혀 없으며, 이는 장소 이미지의 이동성 문제와는 별개의 내용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