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능 영어가 무척 어려웠습니다.
보통 6월 모의고사와 9월 모의고사
중간쯤의 난도로 출제될거라는 예상을 깨고
9월 모의고사보다 훨씬 어렵게 출제된 것입니다.
이번 시험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앞으로는
여러 스킬을 이용한 독해 요령은 통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물론 내년도 수능 시험이 갑자기 쉬워지면 상황은 달라지겠지만
분위기는 더욱 어려운 시험 기조가 유지될거라는 것이 요즘 분위기입니다.
결국 영어 문장을 정확히 이해하는 '실력'만이 최선의 방법이란 것을
이번 시험이 명확하게 알려주었다고 하겠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지금까지 편법을 사용하고 싶은 얄팍한 욕심을 버리고,
많은 시간 공들이며 땀 흘리고 공부하는 사람만이 결실을 맺는다는
'공평'함이 제자리를 찾은 듯 하여 다행이라는 마음도 갖게 됩니다.
하지만 영어 문장을 번역하듯
정확하게 해석하는 방식이 올바르다는 것은 아닙니다.
제한된 시간속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글의 핵심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관건입니다.
이번 수능 시험 24번에 나온 지문을 분석한 자료입니다.
해석 밑에 '핵심 의미'라는 것을 설명해 놓았습니다.
긴 지문을 전부 번역하듯 이해하려고 하지 말고
읽으면서 글의 내용을 쉬운 나만의 언어로 요약 정리해야 합니다.
이것은 고도의 사고력이 필요한 과정인데
어쩌면 수능 시험이 수험생들에게 요구하는 취지와 부합한다고 하겠습니다.
앞으로 수능 영어를 공부하는 학생분들은
이런 훈련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가야 하겠습니다.
영어 문장을 이렇게 습득하는 능력이 갖춰져야
주제 찾기, 주장 찾기, 제목 찾기, 빈칸 추론, 글의 순서 등
어떤 유형의 문제가 나오더라도
무난하게 문제 해결력을 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 핵심 주제
🔄 논리 구조
(3-4) : 상업화로 인한 문제점 및 위험성 제기
(5) : 문제 해결을 위한 균형의 필요성 강조
(6) : 새로운 문화와 경험의 출현 언급
(7) : 컬처테인먼트 분야의 총체적 특성 및 주의점 요약
📝 문장별 상세 분석
- makes it attractive→ ‘make + 목적어(it) + 목적보어(attractive)’의 5형식 구문으로, 목적어를 목적보어하게 만들다는 의미다.
- it→ 앞서 언급된 'culturtainment'를 지칭한다.
- A potential increase in inbound visitor numbers coupled with their demand for related goods and services (travel, accommodation, retail)→ 문장의 주어부로, 'A potential increase'가 핵심 주어다. 'coupled with ~'는 과거분사구로 주어를 보충 설명하며 '~와 결합된'의 의미다.
- their→ 앞서 언급된 'inbound visitor numbers'를 지칭한다.
- an incentive for those within governments and authorities to work with cultural groups→ 'for + 목적격 + to 부정사' 구문은 'to work ~'의 의미상 주어가 'for those ~'임을 나타낸다.
- in order to develop A into B→ 'A를 B로 발전시키기 위해'라는 목적을 나타내는 구문이다.
- risks culturtainment becoming homogeneous and losing its original ‘message’→ 'risk + 목적어 + ~ing' 구문으로, '~가 ~할 위험을 초래하다'는 의미다. 'culturtainment'는 'becoming'과 'losing'의 의미상 주어다.
- its→ 'culturtainment'를 지칭한다.
- that could lead to a dilution of audiences→ 주격 관계대명사 'that'은 앞선 내용(컬처테인먼트가 동질적이게 되고 메시지를 잃는 것)을 선행사로 받아 그 결과를 설명한다.
- This→ 앞 문장에서 언급된 상업화로 인한 문제점들(컬처테인먼트의 동질화, 메시지 상실, 관객 희석)을 지칭한다.
- lead to smaller non-commercial independent events being set up→ 'lead to + 목적어 + ~ing' 구문으로, 'being set up'은 'events'에 대한 동명사 수동태다.
- that would only serve to divide audiences further→ 주격 관계대명사 'that'은 'smaller non-commercial independent events'를 선행사로 받아 부연 설명한다. 'serve to'는 '~하는 역할을 하다'는 의미다.
- This→ 앞선 문장들에서 언급된 상업화로 인한 문제점들(동질화, 메시지 상실, 관객 희석 및 분열)을 지칭한다.
- something that planners and stakeholders will need to balance against potential financial gain→ 'that'은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something'을 수식하며, 'balance something against ~' 구문(~에 맞서 ~의 균형을 맞추다)이 사용됐다.
- Changing political, social and religious landscapes→ 문장의 주어부로, 'Changing'은 현재분사로 'landscapes'를 수식한다.
- with them→ 'new cultures'와 함께(더불어) 새로운 컬처테인먼트 경험이 생긴다는 의미다.
- this→ 앞선 내용 전체, 즉 컬처테인먼트 분야를 지칭한다.
- one that by its very nature is delicate→ 'one'은 앞서 언급된 'sector'를 대신하는 대명사다. 'that'은 'one'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다.
- by its very nature→ '그 본질적으로', '태생적으로'의 의미다.
- in the face of exploitation→ '~에 직면하여'라는 의미로, 여기서는 '착취에 직면했을 때'로 해석된다.
2026학년 대수능 영어 지문상세분석 - 쏠북
2026학년도 대수능 영어 독해 지문에 대한 상세분석 해설 자료입니다. 문장을 한 문장씩 나누어 문장, 해석, 어휘, 구문분석, 의미분석, 주제 및 논리 흐름 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8번부터 45
solvook.com
2026학년도 대수능 영어 정답풀이 상세해설 - 쏠북
2025년 대수능 영어시험 상세 문제 풀이 해설집입니다. 독해 지문, 해석, 주요 어휘 정리, 주요 문장 구문 분석, 글의 주제, 글의 구조, 정답 풀이 및 근거, 선택지 해석 및 오답 풀이로 구성되어 있
solvook.com
'고3 영어 > 지문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6학년도 대수능 영어 지문분석 (0) | 2025.11.15 |
|---|---|
| 2026학년도 수능영어 정답 문제 풀이 (0) | 2025.11.13 |
| 고3 2025년 10월 영어 모의고사 상세문제풀이 (1) | 2025.10.16 |
| 고3 2026학년도 9월 모의고사 상세 문제 풀이 자료 (0) | 2025.09.04 |
| 2024학년도 9월 모평 34번 지문 문제 풀이 해설 (고3) (6) | 2025.08.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