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58

기간을 나타내는 전치사 for와 during의 차이점 기간을 나타내는 전치사 for와 during은 비슷해 보이지만, 사용하는 문맥과 의미가 다릅니다. 둘 다 우리말로 '~동안'이라고 해석되기 때문에 영어 문장을 보고 해석하는 것은 어렵지 않으나, 우리말을 영어로 표현하려고 할 때 많이들 혼란스러워합니다. 과연 이 두 전치사는 어떻게 다른지 살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치사 for와 during의 개념 아래 사진은 중1 영문법 교재에 나온 설명 부분입니다. 영어를 어느 정도 공부했다면 대부분 이렇게 알고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숫자 앞에는 for를 쓰고 그렇지 않으면 during을 쓴다는 마치 수학 공식처럼 이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아래와 같은 예문을 보면 문제가 달라집니다. 1번 - I slept for the movie. 2번 - I sl.. 2023. 6. 22.
미국동요 도레미송 가사 및 해석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에서 들었던 "도레미송" 기억하시나요? 한번 들으면 자꾸 따라하게 되는 마법같은 힘을 가진 동요입니다. 멜로디가 워낙 친숙해서 흥얼흥얼 따라할 수 있지만 노래 가사를 제대로 아는 사람은 생각보다 적은 것 같습니다. 과연 어떤 내용의 가사인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도레미송 노래 듣기 우선 아래 영상을 통해 도레미송 노래를 신나게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영어동요 도레미송 도레미송 가사와 해석 Do, a deer, a female deer 도, 사슴, 암사슴 (Do와 Deer의 첫 글자가 같음) Re, a drop of golden sun 레, 한 줄기 태양빛 (Re와 Ray(빛줄기)의 첫 글자가 같음) Me, a name I call myself 미, 나를 부르는 이름 (Me는 인.. 2023. 6. 16.
실용영어회화패턴 Sorry to bug you, but ~ 영어회화에서 자주 사용하는 패턴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패턴 표현을 많이 알고 있으면 영어 듣기와 말하기할 때 한결 수월해 집니다. 마치 부품을 교체해서 사용하는 것 처럼 상황에 맞는 단어를 적당히 바꿔주면 되는 것이죠.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방법이니 잘 활용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오늘의 패턴 표현 배우기 오늘은 전화 통화할 때 빈번하게 사용되는 표현을 가져왔습니다. 바로 "Sorry to bug you, but ~"이란 표현입니다. bug는 벌레라는 뜻으로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그런에 여기에서는 '귀찮게 하다, 성가시게 하다'라는 동사로 사용되었습니다. 영어는 이렇게 동일한 모양의 단어가 명사로도 사용되고 동사로도 사용되는 특징이 있죠. 아무튼 이 패턴은 상대방에게 무언가 부탁을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2023. 6. 13.
수능영어 필수 다의어 account 뜻과 예문 수능영어에서 자주 나오는 다의어를 잘 알아야 독해가 한결 수월해집니다. 우리말도 그렇지만 영어에서도 단어가 여러 가지 뜻을 갖는 경우가 많이 있죠. 앞으로 수능영어에서 빈번하게 볼 수 있는 필수 다의어를 하나씩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첫 번째로 account라는 단어입니다. 이 단어는 명사로도 사용되고 동사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예문과 함께 반드시 기억해 두면 좋겠습니다. 계좌 I've opened an acount with ABC Bank. 나는 ABC은행의 계좌를 개설했다. 설명 They gave different accounts of the accident. 그들은 그 사건에 대해 서로 다른 설명을 했다. (진술이 달랐다.) There are some accounts of his pai.. 2023. 6. 11.
수능영어독해가 약하다면 꼭 알아야 할 후치수식 유형 총정리 언어마다 고유한 어순이 있습니다. 영어도 우리말도 마찬가지죠. 공통점도 있지만 차이점이 존재하는데 이것은 모든 언어의 공통된 특성이라 하겠습니다. 오늘은 우리말과 다른 영어만이 가지고 있는 후치수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후치수식이란 무엇인가 영어독해를 힘들어하는 학생들이 제법 많습니다.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무엇보다도 영어와 우리말의 어순이 다르다 보니 어려워하는 경우가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물론 어휘력이 부족한 이유도 있겠지만, 단어는 알고 있으면서도 문장을 읽고도 이해 못 하는 경우가 만만치 않습니다. 우리말은 '수식어+피수식어' 어순으로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맛있는 피자' '경치가 좋은 카페' 처럼 '피자'와 '카페'라는 피수식어 앞에 '맛있는' '경치가 좋은'이라는 수식어가 앞에 오게.. 2023. 5.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