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3 영어/지문분석

2026학년도 수능영어 38번 지문분석

by 나의영어이야기 2025. 11. 24.
반응형

2026학년도 수능영어 38번 지문분석

📖 원문

[2026학년도 수능영어 38번]
While stories clearly dominate statistics from both memorability and persuasiveness perspectives, it’s rarely a battle between facts and anecdotes — or even facts and other facts. The real clash is actually between stories: the predominant incumbent and a new challenger. As storytelling creatures, we routinely form narratives to help us understand the world around us. When we experience different events or encounter various facts, our minds seek to make sense of them by forming stories around them. For example, if you have had some bad experiences with graduates from a particular university, you may create a negative narrative in your mind about people who went to that school. Suddenly, you judge everyone from the university by what you’ve experienced on just a few unfortunate occasions. Sometimes these internal narratives we form not only shape our beliefs and opinions but also become deeply rooted in our identity. For example, the narratives you have formed around gun control or climate change are most likely related with your political ideology — who you are as an individual.

📌 핵심 주제

인간이 세상을 이해하고 신념 및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이야기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

🔄 논리 구조

이야기 vs 통계의 대조를 통한 주제 도입(1-2) -> 인간의 보편적인 이야기 형성 경향 설명(3-4) -> 제한된 경험으로 인한 이야기 형성의 편향성 예시(5-6) -> 내면의 이야기가 신념과 정체성에 미치는 심오한 영향 강조(7-8)

📝 문장별 상세 분석

1While stories clearly dominate statistics from both memorability and persuasiveness perspectives, it’s rarely a battle between facts and anecdotes — or even facts and other facts.
이야기는 기억력과 설득력 관점 모두에서 통계를 명확히 지배하지만, 그것은 사실과 일화 간의 싸움, 심지어 사실과 다른 사실 간의 싸움도 거의 아니다.
💡 핵심 의미:이야기는 기억과 설득력 면에서 통계를 압도하며, 진정한 대립은 사실 대 사실이 아니다.
🔍 구문 분석:
  • While stories clearly dominate statistics...→ '~하는 동안'이 아닌, '~임에도 불구하고', '~이지만'이라는 양보를 나타내는 접속사 While이 이끄는 부사절이다.
  • from both memorability and persuasiveness perspectives→ 'both A and B'는 'A와 B 둘 다'를 의미하며, 전치사 'from'과 함께 사용되어 'A와 B의 관점 모두에서'라는 뜻이다.
  • it’s rarely a battle between facts and anecdotes — or even facts and other facts→ 'it'은 비인칭 주어로 문장의 주어가 되며, 'rarely'는 '거의 ~ 않다'라는 부정의 의미를 담은 부사다.
📘 어휘: dominate(지배하다), statistics(통계), memorability(기억력), persuasiveness(설득력), perspectives(관점), rarely(거의 ~ 않다), battle(싸움), anecdotes(일화)
2The real clash is actually between stories: the predominant incumbent and a new challenger.
진정한 대립은 실제로는 이야기들 사이의 싸움이다: 지배적인 현존하는 이야기와 새로운 도전자의 이야기.
💡 핵심 의미:진정한 충돌은 기존 이야기와 새로운 이야기 사이에서 발생한다.
🔍 구문 분석:
  • : the predominant incumbent and a new challenger→ 콜론(:)은 앞선 'stories'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거나 부연하는 역할을 한다.
📘 어휘: clash(대립, 충돌), actually(실제로), predominant(지배적인), incumbent(현존하는 것, 현직자), challenger(도전자)
3As storytelling creatures, we routinely form narratives to help us understand the world around us.
이야기를 만드는 존재로서, 우리는 우리 주변 세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일상적으로 이야기를 형성한다.
💡 핵심 의미:이야기를 만드는 존재로서 인간은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 일상적으로 이야기를 형성한다.
🔍 구문 분석:
  • As storytelling creatures→ 'As'는 '~로서'라는 자격을 나타내는 전치사구다.
  • to help us understand...→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중 목적으로 '~하기 위해'를 의미한다. 'help + 목적어 + 동사원형' 구문으로, 목적어가 동사원형하는 것을 돕는다는 의미다.
📘 어휘: creatures(존재, 생물), routinely(일상적으로, 습관적으로), form(형성하다), narratives(이야기, 서사), understand(이해하다)
4When we experience different events or encounter various facts, our minds seek to make sense of them by forming stories around them.
우리가 다른 사건들을 경험하거나 다양한 사실들을 접할 때, 우리의 마음은 그것들 주변에 이야기를 형성함으로써 그것들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 핵심 의미:인간은 다양한 사건이나 사실을 접할 때, 이야기를 만들어 그것들을 이해하려 한다.
🔍 구문 분석:
  • seek to make sense of them→ 'seek to V'는 '~하려고 노력하다'라는 의미다. 'make sense of'는 '~을 이해하다'라는 숙어다. 'them'은 앞선 'different events or various facts'를 지칭한다.
  • by forming stories around them→ 'by ~ing'는 '~함으로써'라는 수단이나 방법을 나타낸다. 여기서 'them'은 'different events or various facts'를 지칭한다.
📘 어휘: experience(경험하다), encounter(접하다, 마주치다), various(다양한), facts(사실), seek to(~하려고 노력하다), make sense of(~을 이해하다)
5For example, if you have had some bad experiences with graduates from a particular university, you may create a negative narrative in your mind about people who went to that school.
예를 들어, 만약 당신이 특정 대학 졸업생들과 좋지 않은 경험을 했다면, 당신은 그 학교에 다녔던 사람들에 대해 당신의 마음속에 부정적인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
💡 핵심 의미:특정 집단과의 부정적 경험은 그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이야기를 형성시킨다.
🔍 구문 분석:
  • if you have had some bad experiences...→ 'if'가 이끄는 조건절로, 'have had'는 현재완료 시제로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경험을 나타낸다.
  • graduates from a particular university→ 'from'은 '~ 출신의'라는 의미로 졸업생들의 출신을 나타내는 전치사다.
  • people who went to that school→ 'who'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선행사 'people'을 수식하며 'that school'은 'a particular university'를 지칭한다.
📘 어휘: example(예시), graduates(졸업생), particular(특정한), university(대학), create(만들다), negative(부정적인), narrative(이야기, 서사)
6Suddenly, you judge everyone from the university by what you’ve experienced on just a few unfortunate occasions.
갑자기, 당신은 몇몇 불운한 경우에 당신이 경험했던 것에 의해 그 대학 출신 모든 사람을 판단한다.
💡 핵심 의미:소수의 불운한 경험이 특정 집단 전체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작용한다.
🔍 구문 분석:
  • judge A by B→ 'A를 B에 의해 판단하다'라는 의미의 구문이다.
  • what you’ve experienced→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하는 관계대명사로 '~하는 것'이라는 의미다. 'you’ve experienced'는 'you have experienced'의 줄임말로 현재완료 시제다.
  • on just a few unfortunate occasions→ 'on occasions'는 '경우에'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a few'는 '몇몇의', 'unfortunate'는 '불운한'이라는 뜻이다.
📘 어휘: suddenly(갑자기), judge(판단하다), unfortunate(불운한), occasions(경우, 때)
7Sometimes these internal narratives we form not only shape our beliefs and opinions but also become deeply rooted in our identity.
때때로 우리가 형성하는 이러한 내면의 이야기는 우리의 신념과 의견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우리의 정체성에도 깊이 뿌리박게 된다.
💡 핵심 의미:내면의 이야기는 신념, 의견뿐만 아니라 개인의 정체성까지 깊이 형성한다.
🔍 구문 분석:
  • these internal narratives we form→ 'we form'은 목적격 관계대명사(which/that)가 생략된 형태로, 앞에 오는 'these internal narratives'를 수식한다.
  • not only A but also B→ 'A뿐만 아니라 B도'라는 의미의 상관 접속사 구문이다.
  • become deeply rooted in our identity→ 'rooted in'은 '~에 뿌리내린'이라는 의미다. 'deeply'는 부사로 'rooted'를 수식한다.
📘 어휘: internal(내면의), shape(형성하다), beliefs(신념), opinions(의견), deeply(깊이), rooted(뿌리박은), identity(정체성)
8For example, the narratives you have formed around gun control or climate change are most likely related with your political ideology — who you are as an individual.
예를 들어, 총기 규제나 기후 변화에 대해 당신이 형성한 이야기는 당신의 정치적 이념, 즉 개별적인 존재로서의 당신과 가장 관련이 있을 것이다.
💡 핵심 의미:총기 규제나 기후 변화와 같은 주제에 대한 이야기는 정치적 이념과 연관되어 개인의 정체성을 반영한다.
🔍 구문 분석:
  • the narratives (which/that) you have formed...→ 목적격 관계대명사(which/that)가 생략된 형태로, 'you have formed'는 'the narratives'를 수식한다.
  • are most likely related with→ 'most likely'는 '가장 그럴듯하게, 가장 가능성 있게'라는 의미다. 'be related with'는 '~와 관련되다'라는 뜻이다.
  • — who you are as an individual→ 대시(—)는 앞선 내용('your political ideology')을 부연 설명하거나 동격 관계를 나타내며, 'who you are as an individual'은 개인으로서의 본질/정체성을 의미한다.
📘 어휘: gun control(총기 규제), climate change(기후 변화), most likely(가장 그럴듯하게), related with(~와 관련된), political ideology(정치적 이념), individual(개인)

 

 

 

2026학년도 수능영어 독해 분석 - 쏠북

2025년(2026학년도) 수능영어 독해지문에 대한 상세 해석 자료입니다. 역대급으로 어려운 지문이 많이 출제되었는데요, 편법으로 정답만 골라내던 독해 방식은 더 이상 통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solvook.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