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3 영어/지문분석

2026학년도 수능영어 37번 지문 분석 - 철학적 소재로 더욱 어렵게 느껴지는 문제 유형

by 나의영어이야기 2025. 11. 26.
반응형

📖 원문

[2026학년도 수능영어 37번]
Philosophy allows us to ask much broader questions than many other scientific disciplines. It is capable of looking at the bigger picture and providing important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areas of knowledge. Philosophy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the interdisciplinary efforts of cognitive science, where it helps to bridge gaps between different disciplines and pioneer new ways for research. Unlike scientific methods, philosophizing is a non-empirical approach that attempts to validate concepts through logical thinking and argumentation. Philosophers tend to ask questions rather than provide definitive answers, and their contributions often consist of challenging established assumptions and proposing new research approaches. However, for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consciousness, close collaboration between philosophy and neuroscience is required. This means that while philosophy can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theoretical concepts and broader ethical questions, it needs to be supplemented by empirical findings and experiments to reach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 핵심 주제

철학의 고유한 역할과 강점, 그리고 복잡한 문제의 포괄적 이해를 위한 다른 과학 분야와의 협력 필요성이다.

🔄 논리 구조

철학의 광범위한 질문 능력과 통찰력 제시(1-2) -> 인지 과학에서의 철학의 학제 간 역할 강조(3) -> 철학의 비경험적 방법론과 기여 방식 설명(4-5) -> 철학의 한계를 지적하며 의식의 본질 이해를 위한 다른 분야와의 협력 필요성 제기(6-7).

📝 문장별 상세 분석

1Philosophy allows us to ask much broader questions than many other scientific disciplines.
철학은 다른 많은 과학 분야보다 훨씬 더 광범위한 질문을 할 수 있게 해준다.
💡 핵심 의미:철학은 다른 과학 분야보다 광범위한 질문을 할 수 있게 한다.
🔍 구문 분석:
  • allows us to ask→ ‘allow + 목적어 + to 부정사’ 구문으로, 목적어가 ~하도록 허락하거나 가능하게 함을 의미한다.
  • much broader questions than→ 비교급(broader)을 ‘much’가 강조하는 형태로, ‘훨씬 더 광범위한’이라는 의미다.
📘 어휘: philosophy(철학), allows(~하게 하다, 허락하다), broader(더 광범위한), scientific disciplines(과학 분야)
2It is capable of looking at the bigger picture and providing important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areas of knowledge.
철학은 더 큰 그림을 보고 다양한 지식 분야 간의 관계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 핵심 의미:철학은 전체를 보고 지식 분야 간의 관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 구문 분석:
  • It→ 앞 문장의 ‘Philosophy’를 지칭하는 대명사다.
  • is capable of looking at ~ and providing ~→ ‘be capable of ~ing’(~할 수 있다) 구문으로, ‘looking at’과 ‘providing’이 전치사 ‘of’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동명사 병렬 구조다.
  •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s between A and B→ ‘A와 B 사이의 관계에 대한 통찰력’을 의미하는 구문이다.
📘 어휘: capable of(~할 수 있는), bigger picture(더 큰 그림, 전체적인 관점), providing(제공하는), insights(통찰력), relationships(관계), areas of knowledge(지식 분야)
3Philosophy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the interdisciplinary efforts of cognitive science, where it helps to bridge gaps between different disciplines and pioneer new ways for research.
철학은 인지 과학의 학제 간 노력에 특히 중요하며, 인지 과학은 철학이 다양한 학문 분야 간의 간극을 메우고 새로운 연구 방법을 개척하는 데 도움이 되는 분야다.
💡 핵심 의미:철학은 인지 과학의 학제 간 노력에 중요하며, 분야 간의 간극을 메우고 새로운 연구 방법을 개척한다.
🔍 구문 분석:
  • where→ 관계부사로, 선행사 ‘cognitive science’를 보충 설명하며 철학이 인지 과학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나타낸다.
  • it→ ‘Philosophy’를 지칭하는 대명사다.
  • helps to bridge gaps ~ and pioneer new ways→ ‘help to V’(~하는 것을 돕다) 구문이며, ‘bridge’와 ‘pioneer’가 병렬 구조를 이루어 ‘간극을 메우고 새로운 방법을 개척하는 것을 돕는다’는 의미다.
📘 어휘: particularly(특히), important(중요한), interdisciplinary efforts(학제 간 노력), cognitive science(인지 과학), bridge gaps(간극을 메우다), disciplines(학문 분야), pioneer(개척하다), research(연구)
4Unlike scientific methods, philosophizing is a non-empirical approach that attempts to validate concepts through logical thinking and argumentation.
과학적 방법과는 달리, 철학적 사유는 논리적 사고와 논증을 통해 개념을 검증하려는 비경험적 접근법이다.
💡 핵심 의미:철학은 과학적 방법과 달리 논리적 사고와 논증을 통해 개념을 검증하는 비경험적 접근법이다.
🔍 구문 분석:
  • Unlike scientific methods→ ‘~와는 다르게’라는 의미의 전치사구로, 대조를 나타낸다.
  • philosophizing→ 동명사가 문장의 주어로 사용되어 ‘철학적 사유(활동)’를 의미한다.
  • a non-empirical approach that attempts to validate concepts through ~→ ‘that’은 주격 관계대명사로, 선행사 ‘a non-empirical approach’를 수식한다. ‘attempts to validate’는 ‘검증하려고 시도하다’는 의미다.
📘 어휘: unlike(~와는 다르게), scientific methods(과학적 방법), philosophizing(철학적 사색, 철학하기), non-empirical(비경험적인), approach(접근법), attempts to(~하려고 시도하다), validate(검증하다, 입증하다), concepts(개념), logical thinking(논리적 사고), argumentation(논증)
5Philosophers tend to ask questions rather than provide definitive answers, and their contributions often consist of challenging established assumptions and proposing new research approaches.
철학자들은 확정적인 답변을 제공하기보다는 질문을 던지는 경향이 있으며, 그들의 기여는 흔히 확립된 가정에 이의를 제기하고 새로운 연구 접근법을 제안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 핵심 의미:철학자들은 질문을 던지고 기존 가정을 도전하며 새로운 연구 접근법을 제안하는 방식으로 기여한다.
🔍 구문 분석:
  • tend to ask questions rather than provide definitive answers→ ‘tend to V’(~하는 경향이 있다) 구문과 ‘rather than V’(~하기보다는 ~하다) 구문이 결합된 형태다. ‘ask’와 ‘provide’가 병렬 구조를 이룬다.
  • their→ ‘Philosophers’를 지칭하는 소유격 대명사다.
  • consist of challenging ~ and proposing ~→ ‘consist of ~’(~로 구성되다) 구문으로, ‘challenging’과 ‘proposing’이 전치사 ‘of’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동명사 병렬 구조다.
📘 어휘: philosophers(철학자들), tend to(~하는 경향이 있다), rather than(~하기보다는), definitive answers(확정적인 답변), contributions(기여), consist of(~으로 구성되다), challenging(이의를 제기하는, 도전하는), established assumptions(확립된 가정, 기존 가정), proposing(제안하는), research approaches(연구 접근법)
6However, for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consciousness, close collaboration between philosophy and neuroscience is required.
하지만 의식의 본질에 대한 더 포괄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철학과 신경과학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
💡 핵심 의미:의식의 본질을 더 포괄적으로 이해하려면 철학과 신경과학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
🔍 구문 분석:
  • However→ 앞선 내용과 대조되는 내용을 도입할 때 사용하는 연결부사다. 철학의 역할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전환을 나타낸다.
  • for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 ‘~에 대한 더 포괄적인 이해를 위해’라는 목적을 나타내는 전치사구다.
  • is required→ ‘~가 요구된다’는 의미의 수동태 표현이다.
📘 어휘: however(그러나), comprehensive(포괄적인), understanding(이해), nature(본질), consciousness(의식), close collaboration(긴밀한 협력), neuroscience(신경과학), required(요구되는, 필요한)
7This means that while philosophy can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theoretical concepts and broader ethical questions, it needs to be supplemented by empirical findings and experiments to reach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이것은 철학이 이론적 개념과 더 광범위한 윤리적 질문에 대한 가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지만, 더 포괄적인 이해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경험적 발견과 실험으로 보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 핵심 의미:철학은 이론적 통찰을 제공하지만, 포괄적 이해를 위해 경험적 연구로 보완되어야 한다.
🔍 구문 분석:
  • This→ 앞 문장 전체의 내용, 즉 ‘의식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철학과 신경과학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지칭한다.
  • means that ~→ ‘~를 의미한다’는 표현으로, ‘that’은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다.
  • while philosophy can provide ~, it needs to be supplemented by ~→ ‘while’(~하는 동안; 반면에)이 이끄는 부사절과 주절의 대조적 관계를 나타낸다. 주절의 ‘it’은 ‘philosophy’를 지칭한다. ‘needs to be supplemented by’는 ‘~에 의해 보완될 필요가 있다’는 의미의 수동태 표현이다.
  • to reach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에 도달하기 위해’라는 목적을 나타내는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이다.
📘 어휘: valuable(가치 있는), insights(통찰력), theoretical concepts(이론적 개념), broader(더 광범위한), ethical questions(윤리적 질문), supplemented(보완되는), empirical findings(경험적 발견), experiments(실험), reach(도달하다), comprehensive(포괄적인), understanding(이해)

 

 

2026학년도 수능영어 독해 분석 - 쏠북

2025년(2026학년도) 수능영어 독해지문에 대한 상세 해석 자료입니다. 역대급으로 어려운 지문이 많이 출제되었는데요, 편법으로 정답만 골라내던 독해 방식은 더 이상 통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solvook.com

 

반응형

댓글